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육체에 건강한 정신

수퍼박테리아: 새로운 공중 보건 위협, CRE 감염의 모든 것

by shoocreamck 님의 블로그 2025. 6. 27.
반응형


병원에 장기간 입원했던 환자들이 항생제가
듣지 않는 '수퍼박테리아'에 감염되어
사망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CRE)'
예방 백신이나 효과적인 치료제가 없어
심각한 공중 보건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수퍼박테리아란 무엇인가요?

수퍼박테리아는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세균을 통칭하는 말
입니다.
일반적인 항생제로는 치료가 어려워 감염 시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거나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 주로 다루는 CRE는 그중에서도
특히 강력한 항생제인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에도
내성을 보이는 장내세균
으로, 최근 국내 사망자와
감염자 수가 급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CRE 감염, 얼마나 심각한가요?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CRE 감염으로 인한
사망자는 2017년 37명에서 2024년 838명으로
무려 20배 이상 급증
했습니다.
감염자 수도 같은 기간 5,717명에서
42,347명으로 폭증
하여 심각성을 더하고 있습니다.
이는 수퍼박테리아 감염이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닌,
우리 모두의 건강을 위협하는 현실적인 문제임을 보여줍니다.


CRE 감염 증상은 무엇인가요?


CRE 감염 증상은 감염된 신체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 요로감염: 배뇨통, 혈뇨, 잦은 소변 등
* 호흡기 감염: 호흡곤란, 가슴 통증, 기침, 가래 등
* 혈액 감염: 발열, 오한, 저혈압 등 전신 증상
* 상처 감염: 고름, 발적, 부종 등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의 진찰을 받고, 소변배양검사 등
정밀 검사를 통해 원인균을 확인해야 합니다.


CRE 감염은 어떻게 되나요?
(감염 경로)

CRE는 주로 다음과 같은 경로로 감염됩니다.

* 환자 간 직접 접촉: 감염된 환자와의
직접적인 신체 접촉을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 의료진의 손: 의료진이 환자 진료 시 손 위생을
철저히 하지 않으면 감염 매개체가 될 수 있습니다.

* 오염된 환경: 침상, 공용 화장실, 의료기기 등
세균에 오염된 환경을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CRE 감염, 예방 및 주의사항은?

안타깝게도 현재 CRE 감염을 막을 수 있는
예방 백신이나 효과적인 치료 신약은 없는 실정
입니다.
제약사들의 개발 우선순위에서 밀려난 탓이
크다고 합니다. 따라서 감염 예방과
확산 방지가 최우선
입니다.

* 개인 위생 철저: 비누와 물로 손을 자주 씻고,
손 소독제를 사용하는 등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합니다.
특히 병원 방문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는 습관
들여야 합니다.

* 환경 위생 관리: 의료기관에서는 침상, 화장실 등
환자가 접촉하는 모든 환경을 주기적으로 소독하고
청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 항생제 오남용 자제: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은
수퍼박테리아 발생 위험을 높이므로, 의사의 처방 없이
항생제를 복용하거나 남용해서는 안 됩니다.

* 감염 의심 시 즉시 진료: 위에서 언급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의료기관 방문 시 주의: 입원 중인 환자의 보호자는
방문 전후 손 위생을 철저히 하고, 병원 내 감염
관리 수칙을 준수
해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수퍼박테리아가 코로나19보다 더
치명적인 감염병 위기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우리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반응형